피싱사이트
만약 네이버 사이트www.naver.com에 들어가면 DNS(Domain Name Server)를 통해 각 사이트에 해당하는 IP(ex:100.0.0.0)로 들어가지게 한다.
그리고 이 IP를 다른 IP로 변경하여 해커가 만든 사이트로 연결하는 것이 피싱 방법이다.
www.naver.com으로 접속했지만 정작 연결되어 보여지는 사이트가 다른 사이트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. 이는 hosts파일로 변경해 적용할 수 있다. 만약 해커가 주는 이상한 앱을 다운받으면 저렇게 적용하게 만들어 피싱사이트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.
whois 사이트 (도메인 IP찾기)
만약 naver.com의 ip를 조회할 경우 검색후>추가조회>도메인 이름 관련 추가 조회를 누르면 IP주소가 나온다.
KISA 후이즈검색 whois.kisa.or.kr
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자원 검색(후이즈검색) 서비스 입니다.
xn--c79as89aj0e29b77z.xn--3e0b707e
Hosts 파일이란
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가 저장되어 있어서 도메인 이름 시스템(DNS)에서 주소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도 서버의 위치를 찾게 해주는 파일.
<hosts 파일 수정해 피싱 적용시키기>
1.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.(cmd 검색후 우클릭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)
2. hosts 파일 수정하기 (cmd에 입력)
1) hosts파일 열기 -(cmd) 메모장열림
notepad drivers/etc/hosts
2) 메모장에서 수정
#test.com접속시 로컬서버IP로 이동하기 =>#은 주석
127.0.0.1 test.com tests.com =>*이런식으로 쓰기
=>127.0.0.1은 통념적으로 내 로컬 IP를 가리키는 모든 공통된 사용 IP숫자,localhost와 같다. (이거로 사용)/ipconfig로 나오는 내 로컬IP를 쳐도 적용된다. 어차피 같은 IP이기 때문
=>만약 test.com이나 tests.com을 브라우저 URL에 치면 내 IP로 연결되어보여진다.만약 80포트면 기본이라 자동 보여지지만 localhosts:3000의 경우는 브라우저에 test.com:3000으로 쳐야지 연결된다.
3) dns 갱신 (cmd)
변경된 내용이 바로 반영되도록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.
ipconfig /flushdns
3. 브라우저에서 test.com을 쳐보면 이제 127.0.0.1 IP로 연결되어 내 로컬사이트로 연결된다.
test.com:3000을 치면 내가 띄워놓은 3000포트 서버로 사이트가 연결되어 열린다.
참고사이트)
Windows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
로컬 환경에서 도메인이나 서브도메인 테스트를 해야 하는 경우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경우가 많은데요, Windows환경에서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 1. cmd를 "관리자 권한"으로
ccusean.tistory.com
[Windows] hosts 변경하기
hosts란? hosts hosts 파일은 운영 체제가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할 때 사용하는 컴퓨터 파일이다. 이 hosts 파일은 플레인 텍스트 파일이며 전통적으로 hosts라는 이름을 사용한다. 파일 내용 이
ldne.tistory.com
hosts파일 - 특정사이트 차단하기, 파밍
hosts파일이란? 이 글에서 PC에서 차단하고 싶은 사이트가 있을 때 차단하는방법을 다룰려고 합니다. 특정 사이트를 차단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텐데 여기서는 hosts파일은 이용할겁니다. 우
jennana.tistory.com
피싱사이트의 기본적인 수법 - hosts 파일
가입을 해서 그런지, 안철수연구소에서 가끔씩 메일이 오는데, 한번도 확인은 안하고 그냥 지웠다가 ...
blog.naver.com
Web - IP, 포트, 그리고 로컬호스트 (IP, Port, and Localhost)
IP 주소 IP 주소란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을 할 때, 송신자와 수신자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주소를 말한다. 그리고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통신망과 그 통신망에 연겨로딘 텀퓨터에 부여
lgphone.tistory.com
'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asic]Android 기기 원격 디버그(PC에서 모바일 화면 동기화) (0) | 2024.03.14 |
---|---|
[Basic] 캐시(Cache)란 무엇인가? (0) | 2023.11.24 |
[Basic] Chrome inspect- 모바일 웹 디버깅하는 방법 (0) | 2023.05.17 |
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차이점 (0) | 2023.01.28 |